2025년 노인일자리 신청 방법, 자격 및 종류 총정리
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,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위한 일자리 지원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
정부에서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을 통해 어르신들이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노인일자리 신청 방법, 참여 자격, 일자리 종류, 그리고 신청 시 주의할 점까지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1. 노인일자리 사업이란?
노인일자리 사업은 만 60세 이상의 어르신들에게 적합한 공익활동, 사회서비스형, 시장형 일자리 등을 제공하여
사회 참여를 활성화하고 경제적 도움을 주기 위한 국가 지원 프로그램입니다.
✔ 대상: 만 60세 이상 어르신
✔ 지원내용: 공익활동, 사회서비스 제공, 민간기업 연계형 일자리 등
✔ 근무시간: 사업 유형별로 1일 38시간, 월 최대 40120시간
✔ 월 급여: 평균 27만 원~100만 원(활동 유형에 따라 다름)
2. 2025년 노인일자리 신청 자격
📌 노인일자리 사업별 기본 자격
사업 유형 참여 연령 자격 조건
공익활동 | 만 65세 이상 | 기초연금 수급자 |
사회서비스형 | 만 65세 이상 | 활동 가능 어르신 (일부 만 60세 이상 가능) |
시장형 일자리 | 만 60세 이상 | 사업 참여 가능자 |
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 수급자는 참여 제한
✔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는 공익활동 및 사회서비스형 참여 불가
✔ 장기요양보험 등급 판정자는 참여 제한
👉 자세한 참여 기준 확인하기
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사업 안내
3. 노인일자리 종류 및 월급
노인일자리 사업은 공익활동형, 사회서비스형, 시장형, 취업알선형으로 구분됩니다.
어르신들의 능력과 건강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일자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1. 공익활동형 (월 27만 원 내외)
✔ 활동 내용: 취약계층 지원, 공공시설 봉사, 노노케어(홀몸노인 돌봄)
✔ 참여 조건: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
✔ 근무 조건: 월 30시간(하루 3시간 이내)
✅ 2. 사회서비스형 (월 59만 원 내외)
✔ 활동 내용: 보육시설·복지관 지원, 도서관 사서 보조, 스쿨존 교통지원
✔ 참여 조건: 만 65세 이상 (일부 만 60세 이상 가능)
✔ 근무 조건: 월 60~66시간
✅ 3. 시장형 일자리 (월 100만 원 이상 가능)
✔ 활동 내용: 실버택배, 카페 운영, 전통시장 지원, 공동작업장 근무
✔ 참여 조건: 만 60세 이상
✔ 근무 조건: 사업단 운영 방식에 따라 다름
✅ 4. 취업알선형 (최저임금 보장, 월급제 가능)
✔ 활동 내용: 민간기업 취업 연계, 요양보호사, 경비, 주방 보조 등
✔ 참여 조건: 만 60세 이상 취업 가능자
✔ 근무 조건: 업체 계약에 따라 상이
4. 노인일자리 신청 방법
📌 온라인 신청 (편리하게 접수 가능!)
1️⃣ 노인일자리 여기(전국 노인일자리 포털) 접속
2️⃣ 회원가입 후 로그인
3️⃣ 관심 있는 일자리 검색 후 신청
4️⃣ 선발 후 근무 시작
📌 오프라인 신청 (직접 방문 신청 가능!)
1️⃣ 거주지 관할 시·군·구청, 노인복지관, 시니어클럽 방문
2️⃣ 신분증 및 주민등록등본 제출
3️⃣ 일자리 신청서 작성 후 대기
4️⃣ 선발 후 근무 시작
5. 노인일자리 신청 시 주의할 점
✔ 지원 지역 확인 필수 – 거주하는 시·군·구에서 운영하는 사업에 한해 신청 가능
✔ 기초연금 수급 여부 확인 – 공익활동형은 기초연금 수급자만 참여 가능
✔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는 일부 사업 참여 제한
✔ 자격 요건 미달 시 신청 불가하므로 신청 전 확인 필수
👉 노인일자리 참여 유의사항 확인하기
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안내